현재 대대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텔레그램 딥페이크 피해의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다.
서울경찰청 서이버범죄수사대는 최근 엑스(X·옛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하고 있는 불법 합성물 제작 텔레그램 채널과 관련해 내사에 착수했다.
최근 엑스 등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텔레그램 딥페이크 피해자 학교 명단이 게재됐고. 전국적으로 100여개가 넘는 피해 학생의 학교가 게재됐다. 대학뿐 아니라 중·고등학교 수십군데도 포함돼 있다. 이용자 수가 22만7000명에 달한다.
피해자 중에는 대학생뿐 아니라 중·고교생 등 미성년자는 물론 교사, 여군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고, SNS 등에 '피해 학교 명단'으로 떠돌고 있는 곳만 100곳은 족히 넘어 혹시나 '내 사진도 이용된 것은 아닌지'하는 공포심 또한 커지는 분위기다.
'딥페이크' 성범죄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인터넷에 떠도는 얼굴과 음란물을 합성한 가짜 영상물을 제작·유포하는 범죄를 뜻한다.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텔레그램 기반 딥페이크 음란물 제작·유포 사건으로 서울에서만 올해 10대 청소년 10명이 입건된 것으로 확인됐다.
관계자는 “해당 범죄에 대해서도 촉법소년 규정이 적용된다”면서 “시교육청 등과 같이 사례, 처벌 조항 등을 정리해 학교별로 진출해 예방 교육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인하대 재학생과 졸업생이 타깃이 된 단체 대화방 운영자 등이 검거됐는데, 그 외에도 전국의 각 지역·학교별로 세분된 텔레그램 대화방이 다수 만들어져 대화방마다 수천 명이 참여 중인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들은 이른바 '겹지인방'이라는 이름으로 참가자들이 서로 같이 아는 특정 여성의 정보를 공유하고 딥페이크 영상물을 제작·유포하는 등의 방식으로 성희롱했다.
실제 텔레그램의 채팅방 검색을 지원하는 '텔레메트리오'에서 '겹지방'(겹지인방)을 검색한 결과 이날 기준 3천500여명이 구독하고 있는 '대학별 겹지방'이 바로 검색됐다. 이 외에도 1천800여명이 구독 중인 '대학 겹지방' 등 유사한 텔레그램 채널도 발견됐다.
가해자들은 주로 인스타그램 등 SNS에 올라온 피해자들의 사진을 무단으로 저장해 범행에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봇 프로그램'을 활용해 딥페이크 영상을 제작하도록 하는 링크가 공유되기도 했다.
30대 직장인 이모씨는 "주말 사이 X에서 게시물을 보고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사진도 활용된 거 아닌가' 하는 생각에 소름이 끼쳤다"며 "어쩐지 꺼림칙해서 내 인스타그램 계정 게시물을 전부 둘러보고 셀카는 전부 내렸다"고 전했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도 외국에 서버를 둔 텔레그램 특성 탓에 수사에 한계가 있단 점이다.
경찰은 단체 대화방 운영자에 대한 신원 특정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에서 사이버 범죄를 수사하는 한 경찰 수사관은 "단서를 수집한다고 하면 크게 피해자, 피의자, 플랫폼을 통해서 확보할 수 있다"며 "플랫폼(텔레그램)으로부터 확보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플랫폼의 협조가 없으니 피의자를 특정하기가 어렵고 피해자가 알 수 있는 부분도 한정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텔레그램은 다른 SNS에 비해 더 높은 보안성과 익명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유해 콘텐츠의 새로운 온상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점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도 우려를 낳는 부분이다.
텔레그램 창업자이자 CEO인 파벨 두로프가 24일프랑스에서 전격 체포된 것도 이런 배경 속에서 주목된다.
두로프는 텔레그램이 범죄에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를 하지 않은 혐의를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슈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격의 연희동 싱크홀 발생 원인, 사고 위치, 현재 진행 상황은? (0) | 2024.08.30 |
---|---|
맞다이 상징 민희진 어도어 대표이사 해임, 일방적 통보에 반응 (2) | 2024.08.27 |
현재 응급실 연쇄 파행 움직임, 추석 연휴 위기설 커지는데 정부의 대책은? (3) | 2024.08.27 |
이제는 축의금도 키오스크로 하는 MZ세대 ㄷㄷ (0)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