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사는 최모(30)씨는 최근 지인 결혼식에 갔다가 축의금 접수대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축의금 접수대가 있어야 할 자리엔 ‘축의금 접수 키오스크’가 한 대 놓여 있고 먼저 온 하객들은 키오스크 앞에 줄을 서 차례로 축의금을 내고 있었다. 키오스크 화면에 뜬 ‘신랑 축의’ ‘신부 축의’ 중 하나를 택해, 관계·이름을 입력하고 현금을 기계에 넣으면 식권·주차권이 나오는 방식이다.“좀 낯설긴 했지만, 막상 이용해 보니 축의금을 편하게 빨리 낼 수 있어 좋았다”고 했다.
요즘 MZ세대 예비 부부 사이에서 ‘축의금 키오스크’를 비치해 두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데 주로 축의금 접수대를 맡길 친·인척 등이 마땅치 않은 예비 부부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 결혼한 신모씨(33)는 축의금 접수대를 맡길 친척이 한 명이어서 축의금 접수대를 운영하면서 키오스크도 한 대 뒀다. “접수대를 맡은 친척도 접수대를 내내 지킬 필요가 없어 예식을 잘 지켜볼 수 있었다”고 했다. 이렇게 모인 키오스크 축의금은 결혼식이 끝난 뒤 곧바로 신랑·신부 측에 전달됐다. 이와 함께 축의금 명단과 금액이 엑셀 파일로 정리 제공돼 축의금 장부 정리 부담까지 덜 수 있었다고 했다.
축의금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데는 ‘축의금 절도·사기’를 차단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선 축의금 접수대 앞이 혼잡한 틈을 타 축의금을 빼돌리거나, 빈 봉투를 내고 식권·기념품을 받아 갔다는 피해 사례들이 올라왔고 이를 악용하는 사례까지 많아져서 ‘축의금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추세가 늘고 있다고 한다
키오스크 기기 이용 비용은 20만원 정도인데. 한 키오스크 대여 업체 측은 “이미 9~10월엔 예약이 꽉찼다”며 “MZ세대에 소문을 타면서 작년 대비 매출이 50% 넘게 올랐다”고 했다.
그러나 키오스크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분들은 결혼식이라는 게 축하의 장이고 축의금은 하객의 마음이 담긴 성의인데 사람이 안 받고 기례로 받는 건 예의가 아니라고도 얘기가 나오고 있으며 암만 키오스크 이용법을 안내해주는 직원의 도움을 받더라도 축의 봉투를 사람에게 건네는 것보다 어렵고 불편하다는 말이 많이 나온다고 전해졌다.
한 편, 일각에선 키오스크 역시 다른 컴퓨터 시스템처럼 해킹 등 개인 정보 유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축의금 키오스크>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이슈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격의 연희동 싱크홀 발생 원인, 사고 위치, 현재 진행 상황은? (0) | 2024.08.30 |
---|---|
맞다이 상징 민희진 어도어 대표이사 해임, 일방적 통보에 반응 (2) | 2024.08.27 |
현재 응급실 연쇄 파행 움직임, 추석 연휴 위기설 커지는데 정부의 대책은? (3) | 2024.08.27 |
텔레그램 딥페이크 학생, 교사, 군인까지 광범위 전국적인 확산 공포ㄷㄷ (1) | 2024.08.27 |